여기서부터 본문입니다.
발암을 촉진시키는 센트로미어 기능이상을 해석하는 실험계의 개발과 응용
국립유전학연구소 분자유전연구부문 후카가와 타츠오 교수
(헤세이22~24년도)
센트로미어 기능이상과 염색체 안정성의 관련을 해명할 목적으로 센트로미어 기능이상을 가진 세포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실험계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.


헤세이 22년도 성과
- 금년도의 목표대로 신규 단백질을 몇 가지 분류할 수 있었습니다.
- 당초 예정하지 않았던 제품(센트로미어 단백질 관련 항체 9품목 MBL에서 2010년8월 18일 발매)과 시작품이 개발되어 전체 목표를 초과하는 성과를 올렸습니다.
- 2010년 발표 논문은 9편이며 연구가 순조롭게 진행되었습니다.
